본문 바로가기
{Java}

21.06.18{코딩일기} 전자정부 프레임워크 eclipse 게시판 만들기 {Day1}

by Davey 2021. 6. 19.
728x90

게시판 코드작성완료 후기 생생하게 공유드립니다. 많이 놀러와주세여:)

https://www.youtube.com/watch?v=P5s5JwvZjBA&t=27s&pp=sAQA 

#mvc2모델로 자료구조 생성

https://rwd337.tistory.com/39

 

JSP Servlet 기초(25) 게시판 만들기

저번 포스팅에서 말했듯이 (16)포스팅에서 만든 회원인증 프로젝트와 저번 포스팅에서 다운받은 부트스트랩으로 게시판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이번 게시판은 MVC 모델2방식으로 만들겠습니다.

rwd337.tistory.com


우선 위 내용을 그대로 따라 코드를 옮겨서 돌려보았다.

항상 기억해야될 것은 package먼저 생성하고 class나 servlet을 생성해야 한다.
jsp파일은 WebContent 디렉토리에서 생성하면된다.
(아래 'test' 자료구조 첨부사진 참조 바람)

여기서 제안한 방식은 MVC2 model이라
'com.jsp.ex' package에 
Servlet은 'FrontCon.java'로 하나만 생성했다.
특이하게 com.jsp.ex에 MemberDAO이름의 class
생성한 것도 참고바란다. class를 생성하면 파일확장자명은 '.java'로 끝나며
'MemberDAO.java'라는 파일로 생성된다.

파일명과 코드가 일치하는지 안하는지 헷갈려서 JSP servlet 기초(1)부터
빠르게 훓어보고
만든 파일디렉토리는 다음과 같다.
아래 디렉토리는 변경될 수 있어서 참고만 하길 바란다.
변경된 사항은 매번 다음 포스팅에서 언급할 예정이다.
(ps.아래 사진과 달리 write.jsp는 boardWrite.jsp로 파일명 수정했다.)

Web Dynamice project 'test' 디렉토리 자료구조


# Tomcat 서버에 띄워 브라우저 콘솔창에 출력 

Tomcat서버로 띄웠을 때 콘솔창에
Tomcat v9.0 Server at localhost[Started, Restart]
라고 띄워져서, 크롬브라우저 창에
http://localhost:8080/main.jsp등을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화면이 잘 출력됨을 볼 수 있다.
단, 위 디렉토리에 빨간색 사각형안에 x표시된 파일들은 출력이 안되고 있는 상황.

main.jsp 화면 참고사진


join.jsp 화면출력 참고사진


modifyResult.jsp 화면출력 참고사진


'JSP Servlet기초(25)'에서는 command class를 어떻게 생성하는지는 잘나와 있으나 생략된
jsp파일이 많아서 main.jsp, join.jsp, modifyResult.jsp외엔
화면출력이 비어있는 상태.
추후 다른 포스팅을 돌아다니면서 알맞은 코드를 찾아 만들어야 한다.


# 누락된 jsp 파일 이슈

class에러등으로 출력이 안되는 파일(loginGo.jsp파일이나 member.js 파일등등..)에 대한 설명이
게시판 만들기(25)에는 없어서 헤매다가
찾아보니 아래 포스팅에 나와있었다.
맨처음 디렉토리 사진에는 해결완료후 화면 캡처한거라 member.js파일이 WebConent폴더안에
생성완료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https://rwd337.tistory.com/28

 

JSP Servlet 기초(16) 회원인증

이번엔 (13)포스팅에서 알아본 DAO, DTO를 사용해 회원인증 프로그램을 만들어보겠습니다. 먼저 파일들을 생성해 보겠습니다. 패키지안에 MemberDAO.java, MemberDTO.java 클래스 생성해 주도록 하겠습니다

rwd337.tistory.com


앞서 맨처음 위에서 공개한 디렉토리에 loginGo.jsp와 loginResult.jsp 파일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는데
두 파일은 사실 같은 내용이고, 이름만 다른거라 loginResult.jsp는 삭제해도 된다.

단, joinResult.jsp와 modifyResult.jsp의 파일은 'JSP Servlet기초(25)'에서 나온 내용과 비교대조한 후
코드를 통합한 뒤 더 마음에 드는 파일이름으로 생성해주면 된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포스팅에서 업데이트 하겠다.

 

# jsp파일에 부트스트랩 및 제이쿼리 CDN기술하는 방법

css, js파일을 따로 생성하기 귀찮아서 아래와 같이 CDN을 활용해 Bootstrap및 jqeury를 기술했다.

CDN은 bootstarp 이나 jquery 라이브러리를 로컬에 다운받아 해당 자료구조에 따로 폴더를

생성하여 옮기지 않아도 url을 통한 호출로 쉽게 라이브러리를 사용가능하게 한다.


<link rel="stylesheet"
	href="https://cdn.jsdelivr.net/npm/bootstrap@5.0.1/dist/css/bootstrap.min.css">
<script
	src="https://cdn.jsdelivr.net/npm/bootstrap@5.0.1/dist/js/bootstrap.min.js"
	integrity="undefined" crossorigin="anonymous"></script>
<script
	src="https://cdn.jsdelivr.net/npm/bootstrap@5.0.1/dist/js/bootstrap.bundle.min.js"
	integrity="undefined" crossorigin="anonymous"></script>
<script
	src="https://cdn.jsdelivr.net/npm/bootstrap@5.0.1/dist/js/bootstrap.esm.min.js"
	integrity="undefined" crossorigin="anonymous"></script>
    
<script src="https://code.jquery.com/jquery-3.1.1.min.js"></script>

 

#JSTL-library 삭제

JSTL-Library는 사용하지 않아도 server 띄우는데 문제가 되지 않아서
해당 CDN은 삭제했다.

 

Copyright ⓒ 2021 by bluevulpe All Contents cannot be copied without permission.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