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Conference}

11.17.22{코딩일기} 라인 X Yahoo! Japan 'Tech-Verse 2022' 콘퍼런스 첫째날 후기

Davey 2022. 11. 17. 15:59
728x90

 

2022 라인과 야후 Japan이 
공동 테크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오늘은 대망의 첫째날에
참여했던 세션에 관한
간략한 후기를 작성하고자 한다.

 

갠적으로 이번 사이트 디자인과 페이징 스크롤기법이 화려하게 들어가서 구경하는 재미가 쏠쏠했다.

첫째날엔 주로 블록체인 위주로 강의를 들었다.

그중 라인 블록체인 스마트계약 API에 관한 세션에 참가했다.

온체인(On-Chain)이란 블록체인에서 발생하는 모든 거래 내역을 블록체인 위(On)에 기록하는 방식을 뜻한다.

오프체인(Off-Chain)이란 블록체인 이외의 외부(Off)에 거래 내역을 기록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라인 블록체인 디벨로퍼에서 이번에 온체인 비즈니스 로직을 지원하는 스마트 컨트랙 API를 공개했다.튜토리얼 형식으로 구현하는 방법을 직접 시연해주었는데 한번도 블록체인 컨트랙 구현을 접해보지 못한개발자 입장에서 몹시 따라해보고 싶고 흥미로웠다.

 


두번째로 라인 블록체인을 구성한느 7가지 요소에 관한 세션에 참가했다.

라인은 사이드 채널의 공격을 대비해 트랜지션마다 루트 해쉬를 각 트랜지션 리프노드마다 체킹해 검증한다.

위 이진 트리는 라인많의 거래를 묶어주는 머클트리 방식의 예이다.

블록체인으로 거래시 트랜지션이 어떠한 방식으로 검증되는지 궁금했는데 이번 기회에 이해 할 수 있어서 좋았다.

알고리즘을 공부하는 입장에서 이진 탐색 트리개념과 해싱기법이 언급되어 좋았다.

해싱함수는 정말 다양한 곳에 응용이 가능함을 느꼈다.

 


오늘 제일 관심있었던 세션중 하나인 

내가 참여한 마지막 세션은 퇴근길에 버스를 타느라

제대로 집중해서 다 듣진 못하고

Q&A 내용만 들었었다.

오늘 제일 기대가 컸던 세션인데 거의 끝부분에 참여했다. 한시간짜리인줄 알았는데 30분짜리였다. 아쉽따..

 

라인은 화이트박스 엔진은 독자적인 것은 아니지만, 웹에서 구현할 계획에 있다.

상용화된 것을 사용하는 것은 라이센스 문제가 있기 때문에 독자적인 엔진을 구현해서 사용하고 있진 않다고 한다.

기존 화이트 박스로는 보안설정 커스터 마이징이 어려워 C++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고 있다고 한다.

화이트 박스 컨테이너 내부에서 생성되는 secure key를 사용한다고 하는데,

민감한 데이터, 토큰, 암호화 키라는 것을 이 secure key는 서버측에서 일반적인 id를 통해 생성되고,

클라이언트 측에서는 하드코드된 정적 wrapping key를 통해 암호화되서 저장해 사용한다고 했다.

 

 

이번에 새롭게 알게된 것은 크롬 익스텐션을 포함해 모든 웹 어플리케이션은 암호키와 같은 민감한 정보를

브라우저에서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는 옵션이 거의 없다는 사실이었다.

이로 인해 제작년 9월 구글에서도 구글메신저 기능에 E2EE를 적용했다고 한다.

라인에서는 이와 관련해 화이트박스를 E2EE에 통합하는 방법을 적용했고,

화이트박스 컨테이너 내부에서 생성되는 secure key를 활용한 유스케이스를 소개해준 점은 매우 흥미로웠다.

자세한 내용은 세션 스크립트를 보아야 알 수 있다.


 

라인도 AWS 콘퍼런스 사이트처럼 각 세션에 후기를 남길 수 있는 UI/UX를 구현한 점이 맘에 들었다.

개발자와 더욱 소통하고자 하는 면모가 느껴지는 모먼트였다.


 

사진출처: https://tech-verse.me/ko

728x90